본인 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 사용하기

최초 게시일: 2021-05-03 / 최근 수정일: 2021-05-27


gmunu 서버에는 서버 cpu의 마이크로 아키텍쳐 zen2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x86_64 아키텍쳐에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도 함께 제공한다. 따라서 이 소프트웨어를 자신의 컴퓨터에 불러와서 사용 할 수 있다. 현재 이 기능은 RHEL 8과 centos 8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인의 컴퓨터의 cpu가 Intel혹은 AMD cpu가 아닐 경우 (예: arm 프로세서를 사용한 컴퓨터 - 라즈베리 파이, 애플 M1 프로세서) 사용 할 수 없다. 추후 가능한 OS 및 cpu 아키텍쳐를 늘려갈 계획이다.

이 작업은 관리자 권한이 필요하다. 관라자 권한이 없다면 사용하지 못한다는 점을 주의하자. 또한 이 작업은 천문연구원 내부 유선랜으로 연결 된 컴퓨터만 가능하다.

 

1. /applications 디렉토리 만들기

먼저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gmunu 서버의 /applications 디렉토리를 nfs를 이용하여 마운트 해 주어야 한다. 본인 컴퓨터의 루트 디렉토리에 먼저 applications 디렉토리를 만든다.

$ sudo mkdir /applications

여기서 주의할 점은 디렉토리 이름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applications이라는 이름을 반드시 사용해야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2. nfs로 마운트 하기

이제 gmunu서버에 있는 /applications 디렉토리를 로컬 컴퓨터의 /applications 디렉토리에 마운트 한다.

$ sudo mount -t nfs -o ro gmunu.kasi.re.kr:/applications /applications

성공적으로 마운트 되었다면 ls /applications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 목록이 보이는지 확인한다.

 

3. 환경설정 파일 적용하기

이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위해서 환경변수를 설정해 주어야 한다. 환경 변수 설정을 쉽게 하기 위해서 스크립트를 미리 작성해 두었다.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면 필요한 환경 변수들이 설정된다.

$ . /applications/apps_bash_x86_64.sh

 

4. 사용하기

이제 모든 설정은 끝났다. module avail 명령어를 이용하여 사용가능한 모듈의 리스트가 잘 작동 하는지 체크해본다. Maple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려면

$ module load maple/2021
$ xmaple

을 입력하면 maple 소프트웨어가 실행 될 것이다.

 

5.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 되게 하기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 되게 하기 위해서는 /etc/fstab 파일 제일 아래에 아래 항목을 추가해 주어야 한다.

gmunu.kasi.re.kr:/applications /applicaions nfs nfsvers=3,nodev,ro 0 0

환경변수 설정을 하는 스크립트도 터미널을 열 경우에 바로 실행 되도록 아래 명령어로 입력 할 수 있다.

$ echo ". /applications/apps_bash_x86_64.sh" >> ~/.bashrc